부동산

한국인 대출은 막히고…중국인은 서울 아파트 ‘줍줍’

Synthora 2025. 7. 22. 18:15
반응형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187734&plink=STAND&cooper=NAVER

 

한국인 대출 규제 막히자…중국인 서울 아파트 '줍줍'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매입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일에서 17일 사이 서울 지역 집합건물 소유권 이전 등기를 신청한 외국인은

news.sbs.co.kr

한국인 대출은 막히고…중국인은 서울 아파트 ‘줍줍’?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매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인을 중심으로 한 외국인 매수세가 강해지고 있는 반면,
내국인과 법인의 부동산 거래는 큰 폭으로 감소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외국인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내국인 역차별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며, 국회에서도 관련 입법이 추진 중입니다.


📊 외국인 매입은 증가, 내국인은 급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2025년 7월 1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지역에서 집합건물 소유권 이전 등기를 신청한 외국인은 총 114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달 같은 기간(97명)보다 17.5% 증가한 수치입니다.

국적별 외국인 매수자 수6월7월 (1~17일)증가율
중국 40명 54명 +35%
미국 22명 33명 +50%
캐나다 6명 8명 +33%
 

반면, 같은 기간 내국인의 집합건물 이전 등기 신청 건수는 9,950건에서 6,959건으로 약 30.1% 감소하였습니다.
법인의 경우는 915곳 → 379곳으로 무려 58.6% 급감하였습니다.


❗ 왜 외국인은 규제 대상이 아니었을까요?

6·27 부동산 대책의 핵심 내용
수도권 내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6억 원까지만 허용하고,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을 사실상 금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외국인의 경우,

  • 국내 대출 규제 적용 대상이 아님
  • 해외 은행을 통한 자금 조달 가능
  • 주소지·다주택 여부 파악 불가
  • 실거주 요건·세금 중과 적용도 어려움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국내인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부동산을 매입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 외국인, 서울 아파트 ‘무규제 쇼핑’ 중?

현재 외국인은 자금 출처에 대한 증빙 요구도 미비하며,
실거주 여부 확인도 어렵기 때문에 투자 목적의 매입에도 제한이 적습니다.

수도권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도 사실상 무방비 상태이며,
일부 외국인 커뮤니티에서는 **“지금이 한국 부동산을 잡을 절호의 타이밍”**이라는 글이 퍼지고 있습니다.


⚖️ 국회, 뒤늦은 제도 개선 착수

내국인 역차별 논란이 확산되자, 국회에서는 관련 법 개정이 본격 논의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의원 발의안

  • 외국인이 국내 부동산을 취득할 경우 '사전 허가제' 도입
  • 구매 후 최소 3년 이상 실거주 의무 부여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 발의안

  •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내 토지 취득 시, 지방자치단체장 허가 필수

이처럼 여야를 가리지 않고 외국인 부동산 매입 규제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정리하자면

  • 한국인 대출은 막혔지만, 외국인은 규제 대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역차별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중국인, 미국인 등의 서울 아파트 매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정책의 사각지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제입니다.
  • 정부와 국회는 외국인의 무제한 매입을 막기 위한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실거주 요건 및 허가제 도입 가능성도 큽니다.

앞으로 외국인 부동산 매입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어떻게 보완될지,
그리고 국내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 정책이 실제로 실현될 수 있을지
지속적인 관심과 감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